포마상 VS 민궁 승수법
- 김경중 기자 | ksportsjanggi@naver.com | 입력 2018-04-23 10:12:10
![]() |
< 시작도 > |
[K스포츠장기= 김경중] 초포가 가로막고 있어 6선에 있는 한궁이 5선으로 넘어갈 수 없는 상황이다. 이런 부동에 가까운 형태에서 마와 상을 잘 이용하면 이길 수 있다.
(1) 마장을 부를 자리를 맞히기 위하여 마가 궁성에 진입한다.
(2) 한 수 쉬거나 한궁이 내려오는 정도
(3) 마가 나오며 한궁을 부동으로 만든다.
그 다음 상을 활용해야 하는데 어는 자리로 움직이는 것이 정답일까?
(4) 한수쉼
(5) 상이 궁성의 중앙으로 들어가는 수가 중요하다. 이 수도 궁극적으로는 상장군 밭을 맞히기 위한 행마이다.
(6) 한수쉼
(7) 다시 마가 나오며 마장을 부른다.
(8) 한궁을 내리거나 올리거나 둘 중의 하나밖에 없다.
(9) 상장에 외통이 나온다.
한궁이 36으로 피하는 변화수도 53 자리 상장이 있어 결과는 마찬가지이다.
상대 궁이 한쪽에 치우쳐 있으면 뛰는 기물인 마와 상을 이용해서 어렵지 않게 이길 수 있는 낱장기 유형이라 할 수 있다.
[저작권자ⓒ K스포츠장기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
[기사댓글]
헤드라인
묘수의세계